오늘부터 2일간 Jenkins에 대해서 배울 예정이다. 배운 내용에 대해 자세히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다.
Jenkins란 ?
GitHub Action을 직접 작성하는 것과 유사
젠킨스는 소프트웨어 개발 시 지속적으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툴
CI(Continuous Integration) 툴 이라고 표현
다수의 개발자들이 하나의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버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각자 작업한 내용을 공유영역에 있는 저장소에 빈번히 업로드함으로써 지속적 통합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Jenkins Install
(1) 자바 설치
dnf install -y java-11-openjdk-devel
(2) 레포지토리 추가
rpm --import https://pkg.jenkins.io/redhat/jenkins.io-2023.key
cd /etc/yum.repos.d/
curl -O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repo
3) Jenkins 설치
dnf install jenkins
(4) 젠킨스 포트 변경
vi /usr/lib/systemd/system/jenkins.service
Environment="JENKINS_PORT=8080" 를
Environment="JENKINS_PORT=9090" 으로 변경 // 백엔드 서버와 포트번호가 겹치는것을 예방
(5) 대시보드 접속
cat /var/lib/jenkins/secrets/initialAdminPassword 으로 초기 패스워드 확인 및 대시보드에 접속해서 입력
Install Suggested plugins
LDAP - Kerberos - SSO - 중앙 인증 시스템 구성
설치 끝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vOps] Jenkins 2일차 (0) | 2024.02.22 |
---|---|
[DevOps] Github & Jenkins 연동 (0) | 2024.02.21 |
[DevOps] Docker와 Github Action 활용 및 Selenium과 Jest를 활용한 Test (0) | 2024.02.20 |
[DevOps] DevOps - Github Action 실습 (1) | 2024.02.19 |
[DevOps] DevOps - Ansible 실습 (1) (0) | 2024.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