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도커 실습(1) 에서는 도커의 기본 명령어를 다루어 보았다.
이를 활용하여 앞으로 3회 포스팅을 진행하며 DB 및 FrontEnd Server, BackEnd Server 이미지를 생성하고, 컨테이너를 통해 실행하는것 까지 포스팅하고자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DB에 대해서 다루어 보도록 한다.
DB 서버 생성
1. Docker Desktop 프로그램에서 MySql 이미지를 Pull 받는다.
2.Pull 받은 이미지를 실행하여 MySql DB를 생성 및 동작 시킨다.
이때 포트포워딩 및 환경 변수를 지정함으로써 생성할 DB에 대한 구체적인 설정이 가능하다.
환경변수는 Docker Hub에서 MySql의 공식 문서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필수 및 자주 쓰이는 환경 변수만 몇가지 정리 해둔다.
MYSQL_ROOT_PASSWORD | 이 변수는 필수이며 MySQL 슈퍼유저 계정에 대해 설정될 비밀번호를 지정한다. |
MYSQL_DATABASE | 이 변수는 선택 사항이며 이미지 시작 시 생성될 데이터베이스의 이름을 지정할 수 있다 |
MYSQL_USER,MYSQL_PASSWORD | 이 변수는 선택 사항이며 새 사용자를 생성하고 해당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데 함께 사용된다 |
3.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모습은 다음과 같다.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도커 실습 (5) - Front Image 생성 및 Docker Hub에 Push (1) | 2024.02.17 |
---|---|
[Docker] 도커 실습 (4) - BackEnd Server 생성 (0) | 2024.02.11 |
[Docker] 도커 실습 (3) - Front Server 생성 (0) | 2024.02.11 |
[Docker] 도커 실습 (1) (0) | 2024.02.09 |
[Docker] Docker란 ? (1) | 2024.02.09 |